티스토리 뷰
오는 17일부터 금연구역이 전국적으로 확대됩니다. 이는 특히 영유아와 어린이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이번 기회에 금연을 결심하고,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를 통해 건강을 지켜보세요. 이 글에서는 금연을 돕기 위한 주요 정책과 서비스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금연구역 확대! 금연지원서비스
1. 금연전화상담 (1544-9030)
금연은 많은 사람들이 시도하지만 쉽지 않은 도전입니다. 이를 위해 국가에서는 금연을 준비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금연전화상담 서비스는 전국의 흡연자들이 금연에 성공할 수 있도록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운영 시간
- 평일: 09:00~22:00
- 주말·공휴일: 09:00~18:00
- 프로그램 종류
- 단기 프로그램: 7일, 30일
- 장기 프로그램: 100일, 1년
- 30일 금연 프로그램 진행 예시
- 전날: 금연 준비하기
- 1일: 흡연 욕구 조절하기
- 3일: 금단증상 이겨내기
- 7일: 스트레스 관리하기
- 14일: 금연 이유 재확인
- 21일: 금연의 장점 파악하기
- 30일: 금연 성공 기념하기
2. 보건소 & 병·의원 금연클리닉
금연을 결심한 후, 가까운 보건소나 병·의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서비스는 금연에 성공한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보건소 금연클리닉
- 지원내용
- 금연교육 및 상담 서비스 제공
- CO 또는 코티닌 측정을 통한 흡연 상태 평가
- 금연보조제 및 홍보물품 제공
- 참여 방법: 금연클리닉을 운영하는 보건소는 '금연두드림 > 금연서비스 > 서비스기관 찾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지원내용
- 병의원 금연치료
- 지원내용
- 금연치료 의약품 및 보조제 구입비용 지원
- 프로그램 이수 시 인센티브 지급
- 참여 방법: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서 '건강iN > 검진기관/병원찾기 > 병(의)원찾기'를 통해 가까운 병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지원내용
3.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금연이 어려운 환경에 있는 분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가 바로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입니다. 위기청소년, 장애인단체,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저소득층 등을 대상으로 하여 금연 프로그램을 직접 찾아가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진행 절차
- 금연 동기부여 교육
- 건강 상태 평가
- 금연 프로그램 등록 및 목표 설정
- 금연 유지 계획 설정 및 다음 상담 예약
- 신청 방법
- 개인: 전국 17개 지역 금연지원센터에 방문하거나 전화로 신청 가능합니다.
- 단체: 기관, 시설, 협회 등은 대상 기관 모집 시 등록 가능합니다.
금연지원서비스 비교
서비스 종류 | 주요 특징 및 혜택 | 신청 방법 |
금연전화상담 |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 (단기/장기) 제공 | 1544-9030 전화 |
보건소 금연클리닉 | 금연교육, 상담 서비스, 보조제 제공 | 금연두드림 > 금연서비스 > 서비스기관 찾기 |
병의원 금연치료 | 의약품 및 보조제 비용 지원, 인센티브 지급 | 건강iN > 검진기관/병원찾기 |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 어려운 환경의 흡연자 대상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 금연지원센터 방문 및 전화 신청 |
이번 금연구역 확대와 함께, 건강한 생활을 위한 금연을 결심해보세요.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금연에 성공하고 건강한 삶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