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방(紙榜)은 고인의 영혼을 기리는 종이로, 차례나 제사 때 고인의 신위를 모시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통적으로 붓으로 한자를 써서 만들지만, 현대에는 펜이나 한글로 작성해도 무방합니다. 지방의 기본 구조는 고인과의 관계, 고인의 호칭, 이름(또는 관직),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적는 순서로 구성됩니다.


부모 지방 작성의 기본 구조

부모 지방은 고인의 성별, 돌아가신 분의 수에 따라 작성 방식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아래는 부모가 모두 돌아가신 경우와 한 분만 돌아가신 경우에 따른 작성법입니다.

부모가 모두 돌아가신 경우

내용 예시
왼쪽(아버지) 「顯考 ○○大人 神位」 등으로 적는다.
오른쪽(어머니) 「顯妣 ○○大人 神位」 등으로 적는다.
  • 顯考(현고): 돌아가신 남자 조상을 의미합니다.
  • 顯妣(현비): 돌아가신 여자 조상을 뜻합니다.
  • 지방은 세로로 두 줄 작성하며, 왼쪽에 아버지, 오른쪽에 어머니를 나란히 적습니다.

부모 중 한 분만 돌아가신 경우

내용  예시
한 분만 계신 경우 살아 계신 분의 지방은 쓰지 않고, 돌아가신 분의 「顯考」 또는 「顯妣」만 쓴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어머니가 생존해 계시다면 어머니의 지방은 생략합니다.

 

모바일 신분증 발급 비용과 방법

시외버스 8862 버스 예매 방법 및 시간표


지방 작성 시 유의사항

  1. 호칭 사용: 남자 조상에게는 「○○대인」, 여자 조상에게는 「○○대인」 또는 「부인」, 「숙부인」 등의 호칭을 사용합니다.
  2. 글씨체: 붓글씨가 가장 권장되지만, 펜으로 작성하거나 한글로 적어도 예우에 문제가 없습니다.
  3. 제사 후 처리: 차례나 제사가 끝난 후에는 지방을 불에 태워 처리합니다. 이는 고인의 혼이 안식에 들도록 돕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지방 작성 예시

부모님의 지방 작성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겠습니다.

부모 모두 돌아가신 경우

  작성 예시
왼쪽(아버지) 「顯考 李成柱 大人 神位」
오른쪽(어머니) 「顯妣 金英子 大人 神位」

아버지만 돌아가신 경우

  작성 예시
왼쪽(아버지) 「顯考 李成柱 大人 神位」

 

어머니는 생존해 계시므로 지방을 작성하지 않습니다.


지방을 모시는 방법

지방을 작성한 후에는 차례나 제사 중 고인의 영혼이 앉아 계신다는 의미로, 지방을 지정된 위치에 놓아야 합니다. 지방을 모시는 방식에도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1. 위치: 지방은 상 위 중앙에 배치하며, 그 앞에 제물을 놓습니다.
  2. 방향: 지방의 글씨가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배치합니다.
  3. 높이: 지방을 올려놓은 받침대(신위대)를 사용하여 정갈하게 배치합니다.
  4. 촛불과 향: 지방 양옆에 촛불을 켜고, 그 앞에 향로를 배치합니다.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방법을 조화롭게 활용하면, 효를 실천하는 동시에 실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붓글씨 대신 프린트된 글씨를 사용하거나, 지방 대신 위패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정성과 예의를 다하는 마음입니다.

 

 

 

2025 설 연휴 진료 동물병원현황 총정리 - 박팀장웹마스터

설 연휴 동안 갑작스럽게 반려동물이 아플 경우 대비하여, 특별시와 광역시에 위치한 설 연휴 진료 동물병원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websmart.co.kr